의역,오역 양해바람. 더 자세히는 영어페이지 참조
  • 연구내용(간략)

  • 개요 - 천체물리와 이론물리의 병행
  • 우리는 현재 중력과 물질에 대한 이해의 획기적 변동을 불러오는 관측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.
  • 중력파 검출기의 설립으로 강한 중력장의 원천으로부터 직접 멀티메신저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하여 기초물리학에 기반한 관측의 결과를 천체에 응용하여 이와 같이 중력파의 원천 후보인 블랙 홀 과 중성자 성 의 구조의 수수께끼를 푸는 것에 큰 이바지할 수 있음이다.
  • 강한 중력장을 방출하는 밀집 천체 (Compact astrophysical object) 역시 새 물리의 이상적인 탐사기구, 즉 프로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, 이 때 일어나는 중력장은 물질에게 고전물리학적 양자역학적 중요한 영향을 줄 수있음에서 비롯됨.
  • 현재 진행되고 있는 중력파 연구를 대략 3 가지 사항으로 분류해 보면 아래와 같다.
  • 첫째, Aligned Spin 조사
  • 고립된 블랙홀은 질량과 스핀 값에 인해 특징화되어진다. 이제까지 기존의 LIGO search는 각각 다른 질량을 가진 블랙홀을 위주로 실행되었고 다른 스핀 값에 의존한 search 는 불필요하고 힘들다고 간주되었다. 허나, 최근 부상하는 천체물리학적 증거에 의하면 별의 질량을 가진 블랙홀은 스핀의 한계에 다다르는 값을 가지고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고 한다. 그리하여 미래의 LIGO search 에는 스핀 값의 영향을 포함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 중의 하나로 고려되어지고 있다.
  • 둘째, Principal Components (주요 구성 요소)
  • 중력파 신호는 방출 원의 많은 매개 변수, 즉 파라미터와 검출기의 상대적 위치에 의존된다. 그러나 검출기 자체는 이런 변수의 일부의 조합, 특히 어떠한 조합에는 더 감도(센시티비티)가 높다.
  • 이 같이 어느 파라미터의 조합이 가장 유용한 지 판단하기 위해 principal component 분석이 필요하다. 특히 spinning 회전 블랙홀 시스템의 경우, 스핀 값과 질량의 비율의 축퇴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이 유용하다.
  • 셋째, Parameter accuracy with spin and higher harmonics
  • 스핀과 고조파를 포함한 파라미터 정확성
  • 어떠한 원천으로 부터 방출되냐에 따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중력파 신호가 어떤 모습을 띄는 지 정확히 예측한다. 그러나 이론 방정식을 풀어 엄밀해를 얻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근사법을 사용해야 한다. 중력파 분석에 자주 사용되는 포스트-뉴턴 근사법으로는 쌍성궤도 (binary orbit) 의 에너지와 선속 치를 v/c 의 멱수 전개, 또한 질량과 진동수의 곱의 멱수 전개가 있는데, 이 때의 고차보정은 계산적으로 고 난이도를 요구함으로 현재까지는 거의 질량의 동등한 바이너리 시스템에 한하여 소량의 항 만이 계산되었다. 중력파의 경우 아직 계산되지 않은 포스트-뉴턴 고차항이 잠정적으로 무시되어진다. 특히 근사법을 적용할 때에는 무시할 수 있는 항의 범위와 그 주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. 당연히 미계산 항의 영향을 조사할 수는 없어도 그 영향을 적용했을 때 결과가 어떻게 변하는 것을 체크함으로 더 정확한 보정이 필요한 영역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.

    그 외

  • Black Hole Horizons and Thermodynamics
  • 블랙홀 호라이즌과 열역학
  • 작성중

    가족사항:

    구로시바, 한 마리 (이름: 필릭스 네로)
  • 와이프, 한 분 (이름: 가혜)